[기업기상도] '돈쭐' 난 맑은 기업 vs 장대비에 갇힌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출 호조에 이어 이젠 내수 살리기 처방들이 속속 현실화한 한 주 였습니다.<br /><br />'변이 바이러스' 확산이 걱정이긴 하지만 경제는 확실히 회복으로 방향을 튼 모습인데요.<br /><br />한 주간 기업계 좋고 나쁜 소식들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금리 인상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빠른 인상은 분명 충격이지만 바꿔 생각하면 회복이 빠르다는 뜻도 있죠.<br /><br />소비자들의 경기 기대가 6개월째 개선됐다는 뉴스도 이를 뒷받침하는데요.<br /><br />한주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, 카카오입니다.<br /><br />끝 모를 사업 확장에 자회사 상장 기대 겹쳐 주가가 뛰었습니다.<br /><br />포털, 메신저 넘어 쇼핑, 교통, 콘텐츠까지 무한 확장 중이죠.<br /><br />그러자 증시 시각도 '뜨는 기술주'에서 한국 증시 대표주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본사 가치가 80조 원대, 자회사 카카오뱅크가 40조, 가상자산거래소 등을 하는 두나무가 30조란 평가 나오며 시가총액 3위 굳혔습니다.<br /><br />주 후반 떨어지긴 했지만, 그룹 시가총액도 삼성 등 4대 재벌 다음이고 4대 그룹이 계열사 67개 늘린 5년 새 카카오는 73개 늘렸습니다.<br /><br />세상이 이렇게 달라진 겁니다.<br /><br />다음은 금융 앱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입니다.<br /><br />온라인 금융 만물상 변신 중인 이 회사 몸값이 벌써 8조 대란 평가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간편송금과 결제, 증권 이어 3번째 인터넷 은행 개업 준비 중이죠.<br /><br />덕분에 지난주 4,600억 원 투자 유치했는데요.<br /><br />계산해보면 총가치가 8조2,000억 원, 열 달 만에 세 배 됐답니다.<br /><br />작년 3천억 원대던 매출이 올해는 1조 바라본답니다.<br /><br />2023년쯤 상장이 목표라는데요. 앞으로도 탄탄대로 달릴지는 전적으로 고객에게 어떤 편의와 가치를 창출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쿠팡입니다.<br /><br />대규모 적자에도 투자받아 버티며 고성장하더니 2주째 대한민국서 제일 흐립니다.<br /><br />끄는데 엿새 걸린 큰 불에 소방관이 숨졌는데 쿠팡은 아니라지만 스프링클러 작동 늦고 불났다고 알려도 무반응이었단 의혹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한국 장사로 떼부자 된 미국인 대표가 글로벌 사업한다며 물러난다는 발표도 불난 때였습니다.<br /><br />숨진 음식점주와 쿠팡이츠 앱 리뷰 논란, 욱일기 상품 논란까지 더해졌습니다.<br /><br />2주 새 벌어진 일입니다.<br /><br />또 있습니다.<br /><br />5월엔 상품 판매자 노하우 탈취했다며 참여연대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고요, 노동자 과로사 논란도 진행형입니다.<br /><br />소방관 유족 평생 지원이란 사후약방문에도 쿠팡 탈퇴가 줄 잇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한국전력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요금 좀 올릴 줄 알았더니 또 막혔습니다.<br /><br />연료비 상승으로 제도상 kWh당 요금 3원 올려야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또 동결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로 힘들고 물가 부담도 있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.<br /><br />선거 가까우면 더 올리기 힘든 특성상 4분기나 내년 1분기 인상도 불투명한데요.<br /><br />주가 떨어지고 증권사들은 일제히 목표가 낮췄습니다.<br /><br />한전은 엄연히 주주가 있는 상장사입니다.<br /><br />정책상 못 오려 손해 보면 대안이 있어야 합니다.<br /><br />두부가 콩보다 싼 상황을 언제까지나 유지할 수 있다고 믿는 건 착각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대우조선해양입니다.<br /><br />전산망 해킹 시도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모처럼의 수주 풍년 호재가 해킹 시도로 바랬습니다.<br /><br />방위사업청도 인정하고 관계기관이 조사 중이라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아시다시피 대우조선해양은 잠수함 등 각종 군함 만드는 핵심 방위사업체인데, 이런 식으로 해킹 시도가 있었다면 국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은 북한 해커의 핵잠수함 정보 해킹 시도는 아니라고 했답니다.<br /><br />정말 그래야겠지만 해킹 시도가 사실이면 무조건 안전했다고 자신하긴 힘들 겁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삼성디스플레이입니다.<br /><br />노사가 임금 인상 합의점 못 찾아 결국 파업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회사 4.5%, 노조 6.8% 제시 임금 인상률인데요.<br /><br />언뜻 보면 그 정도로 파업하나 생각 드실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노조는 2.3%포인트가 문제가 아니고 왜 4.5%인지 근거를 회사가 안 주는 게 문제라고 말합니다.<br /><br />노조 와해 공작 임원 형사처벌과 이재용 부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 발표 뒤 첫 파업은 이렇게 일어났습니다.<br /><br />회사는 "대화 창구는 열려있다"고 했는데 열려있으면 빨리 답 찾는 게 모두에게 이익일 겁니다.<br /><br />주식, 부동산 같은 자산가격지수가 한국전쟁 뒤 최대 국난 외환위기 수준에 근접했고 빚도 과해 대내외 충격 시 마이너스 성장도 배제 못한다...한국은행의 금융상황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당국도, 투자자도 정상화를 먼저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